알기쉬운 약 쏙쏙

염증약이 혈당을 높이고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_약사가 정리해서 쏙쏙!

Pharmguy 2023. 9. 20.
반응형

가벼운 염증, 감기, 레이저 시술 후 등등 알게 모르게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은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스테로이드와 당뇨병/고혈당의 관련성에 대해 정리해 드립니다.

스테로이드와 당뇨병

바쁜 분들을 위한 3줄 요약

  •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은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며 염증반응을 조절해 주는 약이다.
  • 스테로이드는 인슐린 작용을 막고 당 신생을 촉진하여 혈당을 상승시킬 수 있다.
  • 스테로이드 종류에 따라 고혈당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이 상이하며, 당뇨환자가 염증관리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이라면 혈당체크를 수시로 하는 게 중요하다.

1. 스테로이드는 결코 해로운 물질은 아니다.

스테로이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라고도 불립니다.
스테로이드 성분은 인체의 염증을 억제하여 다음과 같은 질병의 치료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약입니다.

 

  • 천식 (asthma)
  • 낭포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 류마티스성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 암 (Cancer)

특히나 콩팥과 같은 장기를 이식받은 환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온 장기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여 인체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데요. 장기 이식 후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 약 또한 스테로이드입니다.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최근 몸만들기 열풍에 힘입어 근육을 단시간 내에 키우기 위해 불법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제조하고 투여한다는 흉흉한 기사가 많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합니다. (대표적으로 무정자증)

사진출처: biowatch 장자원기자 작성

 

 

스테로이드 유발성 당뇨병 (Steroid-Induced Diabetes Mellitus, SIDM)

 

스테로이드 약물은 인슐린1 분비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거나 간 또는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혈당을 높이는 대표적인 약제 중 하나입니다.
1인슐린 (Insulin) 췌장에서 분비되어 혈액 중의 당분을 세포로 흡수시켜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



스테로이드가 당뇨병을 악화시키는 이유

  • 간에서 더 많은 포도당을 방출하게 한다.
  • 근육과 지방 세포가 혈액의 포도당을 흡수하는 작용을 막는다.
  • 인슐린에 대한 신체 민감성을 감소시킨다.

스테로이드가 혈당을 어떻게 상승시키나?

당뇨병 환자에서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경우 고혈당을 악화시키고, 고 용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정상 혈당이었더라도 혈당을 의미 있게 증가시킵니다.

 

✅ 또한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거나 주사한 환자의 14~28% 에서 내당능장애나 당뇨병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 있는 약제의 증량 및 혈당 측정계획 등을 담당의와 상세히 상의해야 합니다.

✅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물의 당신생작용에 의해 혈당치가 상승하여 당뇨병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2. 그럼 스테로이드 약 끊으면 정상으로 회복되나요?


diabetes.org.uk

대부분의 경우 스테로이드 약 복용을 중단하면 혈당 수치가 정상 범위로 회복됩니다.
그러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스테로이드 치료를 중단하더라도 당뇨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가 과도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ex, 코르티솔)을 생성하는 쿠싱 증후군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종종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과잉 생성으로 인해 혈당 수치가 상승하는 것을 경험합니다.

쿠싱증후군_사진출처: Mayo clinic


반대로, 에디슨병과 같이 코르티솔 생산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혈당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저혈당증).

요약하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특히 코르티솔은 간에서 포도당 방출을 촉진하고 말초 조직의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여 혈당 수치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3. 스테로이드, 얼마나 먹으면 혈당이 올라갈까?

소론도정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마다 크게 다를 수 있으며

▶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약물에 대한 민감도
치료할 특정 상태
약물 사용 기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른데요.

 

스테로이드 종류에 따라 고혈당이 오는 시점이 조금 다르다

A Practical Guide for the Management of Steroid Induced Hyperglycaemia in the Hospital

▶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스테로이드 (히드로코르티손)
- 고혈당 효과: 복용 후 약 3시간에서 최대

▶ 효과가 중간정도 속도로 나타나는 스테로이드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 고혈당 효과: 복용 후 약 8시간에서 최대

▶ 효과가 더디지만 오래 지속되는 스테로이드 (덱사메타손)
- 고혈당 효과: 복용 후 약 8시간에서 최대

Felix et al., 2021 내용 중 각색

당뇨환자 중 위의 스테로이드 성분의 염증약을 복용 중이라면,고혈당 효과가 발현되는 시간대를 특히 주의하는 게 좋겠습니다.

심각한 염증성 질환이나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용량의 프레드니솔론은 혈당 수치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경우 개인은 상당한 혈당 상승을 경험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스테로이드 유발 당뇨병으로 이어지거나 기존 당뇨병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중요한 혈당체크_출처 Pexel

스테로이드 약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의료 전문가, 특히 당뇨병 병력이 있거나 당뇨병 발병 위험이 있는 개인의 경우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생활 방식 수정, 식이 변화 및 혈당 수치 관리를 위한 추가 약물을 권장할 수도 있습니다.


4. 먹는 스테로이드 약 어떤 게 있을까?

 

1. 히드로코르티손 성분의 먹는 스테로이드


래피손정_코오롱제약
제이알히드로코르티손정_비보존제약
코로손정_영일제약
하이드로정_제뉴원사이언스
하이로손정_태극제약
하이손정_대우제약
히든정_오스틴제약
히록손정_이연제약
히티손정_대한뉴팜


2. 프레드니솔론 성분의 먹는 스테로이드


소론도정_유한양행


3. 메틸프레드니솔론 성분의 먹는 스테로이드


메치론정_알보젠코리아
피디정_제이더블유신약
메디솔론정_한국휴텍스제약
니소론엠정_국제약품
메드론정_메디카코리아
미프론정_팜젠사이언스
베아솔론정_대웅바이오


4. 덱사메타손 성분의 먹는 스테로이드


부광덱사메타손정_부광약품
삼남덱사메타손정_삼남제약
신일덱사메타손정_신일제약
덱사하이정_대웅제약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은 먹는 약 외에 주사제, 바르는 약 (외용제) 등 매우 다양합니다.



[출처] 글 그림 자체 제작 사진출처 약학정보원 | 작성자 약아는녀석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