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무더위에도 불구하고 먹고 살기 위해 오늘 하루도 불태우셨나요? 최근에는 투잡을 넘어 쓰리잡 N잡 하시는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요. 약 또한 열심히 N잡에 종사중인 친구들이 있습니다.
N잡하는 약을 소개해드리는 넌 본업이 뭐약? 1. 히드록시클로로퀴논입니다.

이름: 히드록시클로로퀸, 직업1: 말라리아치료제
국가건강정보포털
히드록시클로로퀸은 말라리아 기생충 안의 pH를 증가시켜 소화액포 기능을 방해하고 헤모글로빈의 리소좀 분해를 방해합니다. 아울러 호중구의 운동성과 호산구의 주화성을 저해하며, 보체의존성 항원-항체반응을 손상시킵니다. [출처 약학정보원]

말라리아란?
말라리아는 플라스모디움 속 (genus Plasmodium)에 속하는 기생충이 척추동물의 적혈구에 기생하여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3급 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빈도는 적지만 발생이 아예 없진 않습니다. [2022년 기준 420건] 주요 발생 지역은 인천, 경기, 강원지역이며 군 복무 중에 주로 감염된다고 합니다. 나라 지키랴 모기랑 싸우랴 고생이 많은 국군 장병 여러분 화이팅입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인데요, 경과는 가벼운 편입니다. 다만 '열대열 말라리아'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환으로 열대열 말라리아 유행지역을 방문할 경우 반드시 예방약1을 복용해야 합니다.
1클로로퀸,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메플로퀸, 독시사이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랑한 약?, 히드록시클로로퀸
국가건강정보포털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치료제는 물론 백신도 없었는데요.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도널드 트럼프는 말라리아 치료제인 히드록시클로로퀸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있다며 복용했다고 합니다. 치료효과가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말이죠.

이와 더불어 국내의 경우 신풍제약의 말라리아 감염 치료제인 '피라맥스정'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치료효과가 있다는 기사나 이야기들이 난무하며 폭발적인 주가상승을 보였었죠.

최근 기사를 찾아보니 신풍제약의 피라맥스정이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 임상3상 시험 결과를 이달 중에 발표한다고 합니다. 신풍제약 주주님들의 귀추가 주목될 뜨거운 8월입니다.
아무튼 말라리아 치료제란 녀석 (히드록시클로로퀸)은 어떤 또 다른 잡을 갖고 있을까요?
이름: 히드록시클로로퀸, 부업2: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국가건강정보포털, Chat GPT
히드록시클로로퀸은 말라리아 치료 외에도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특정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약물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주로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통증, 경직 및 부종을 유발하는데요. 이때 사용되는 계열의 약을 DMARDs라고 합니다. DMARDs는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의 약자로 영어 뜻 그대로 '질병 완화/조절 항 류마티스 약물'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서 면역 체계의 비정상적인 반응을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DMARD?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질병 완화/조절 항 류마티스 약물'
류마티스 관절염과 관련하여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 증상 완화 : 관절의 통증, 염증 및 경직을 줄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전반적인 관절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 느린 질병 진행 :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또한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절 손상과 기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병용 요법 : 더 나은 질병 통제를 위해 종종 다른 DMARD 또는 생물학적 제제와 함께 사용됩니다.
✔ 적정 치료기간은 6개월
류마티스 관절염 외, 원판성 및 전신 홍반루푸스, 광과민성 피부질환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다만 6개월간 히드록시클로로퀸을 위와 같은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해 복용한 후에도 증상의 개선이 없으면 복용을 중지하고 다른 치료법2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2히드록시클로로퀸은 다소 클래식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에 속합니다. TNF 억제제 (에타너셉트Etanercept, 아달리무맙Adalimu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골리무맙Golimumab), IL-6 수용체 차단제 (토클리주맙Toclizumab), T세포 활성 조절제 (아바타셉트abatacept), B 세포 활성 조절제(리툭시맙rituximab)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부작용, 눈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히드록시클로로퀸 복용하는 분들이 흔히 호소하는 부작용이 눈과 관련되어 있는데요. 시야가 흔들린다거나, 시야가 혼탁해진다거나 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부작용일 수 있으나 간혹 약 복용을 중단한 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안과 검사가 꼭 필요해요.
'알기쉬운 약 쏙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눈, 진단에서 치료까지. All about 티눈_약사가 정리해드림. (3) | 2023.08.18 |
---|---|
바이오 투자용어_CMO와 CDO_약사가 정리해드림. (0) | 2023.08.14 |
무상공급하는 항암제? 렉라자정에 무슨일? Written by 약아는 녀석들 (0) | 2023.08.08 |
공부 잘하는 약? 진짜 성적이 오를까? (feat. 콘서타오로스서방정)_약사가 정리해드림. (0) | 2023.08.05 |
치통이 심할 때.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치통 진통제 정리 (0) | 2023.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