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건강정보

육아와 스마트기기, 피할 수 없다면 슬기롭게 공존합시다.

Pharmguy 2023. 8. 16.
반응형

육아를 하다보면 유튜브와 같은 영상노출이 너무 많지 않을까 걱정이 되곤 하는데요. 어린 나이부터 스마트기기에 익숙한 세대이다 보니 거북목과 같은 불량한 자세로 이어지면 어쩌나 싶고요.

 

육아와 스마트기기의 이상적인 공존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육아와 스마트기기, 피할 수 없다면 슬기롭게 공존합시다.
스마트기기 사용과 영유아 거북목

바쁜 분들을 위한 3줄 요약

  • 스마트폰, 태블릿 시청 중 무의식적으로 고개의 각도가 숙여지는데 이는 목에 큰 하중 (10-27kg)을 일으킨다.
  • 거북목은 목 어깨 부근 근육의 길이를 변화시키며 경추 통증 및 안면 통증, 시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 12개월 미만의 영아는 영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5세 미만까지는 1일 1시간 미만으로 통제할 것이 권장됩니다.

거북목? 'Text Neck Syndrome, Tech Neck Syndrome'


흔히 거북목이라고 하는 구부정한 자세. 영어로는 'Forward head posture', 'Rounded shoulder posture', 'Text Neck Syndrome' 등으로 지칭한답니다. 텍스트 넥 증후군은 영유아 시기부터 모바일 기기와 화면의 사용 증가로 인해 우려되고 있는 문제입니다.

올바른 자세에서 머리의 무게는 5kg 정도입니다. 15도 정도 고개를 숙인 자세에서는 머리의 하중이 12kg로 증가합니다. 고개를 숙인 각도가 30도, 45도, 60도로 증가하면 머리의 하중도 18kg, 22kg, 27kg으로 증가합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는 대개 고개가 37도에서 47도 정도로 숙여지는데, 이로 인해 평상시의 3~4배 정도의 하중이 목을 지지하는 근육, 인대, 관절에 부하됩니다.

 

축구선수들이 거북목이 많은 이유 또한, 목에 하중이 많이 부하되기 때문입니다.

유명 축구선수들 중에 의외로 거북목인 분들이 있습니다. '노쇼두'로 불리며 국민밉상으로 등극했다가, 카타르 월드컵 때 속죄의 '등 어시스트'로 인기에 불씨를 지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주장이자 토트넘 핫스퍼의 새로운 주장이 된 손흥민 선수도 거북목 같은 모습이 포착되곤 하는데요.

육아와 스마트기기, 피할 수 없다면 슬기롭게 공존합시다. -  거북목? 'Text Neck Syndrome, Tech Neck Syndrome'
크리스티아노 호날두와 손흥민, 출처 KBS2

축구선수들 중 거북목이 많은 이유는 빠른 속도로 날아오는 축구공을 머리에 갖다대다 보니 그 하중이 그대로 경추에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F=m(질량) a(가속도) 기억나시죠? 말벅지로 무지막지하게 차 대는 축구공의 가속도는 정말 무시무시할텐데요. 빠른 속도로 날라온 축구공이 머리/ 경추에 가하는 힘 또한 엄청나겠죠?


즉, 우리 아이들이 고개를 푹 숙인채로 스마트폰, 유튜브를 본다는 것은 이강인의 강력한 크로스가 아이들의 머리/목으로 쉼없이 날라오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좀 심각성이 와닿으실까요?


WHO 추산하는 건강 문제 4, 10위에 해당하는 목 통증/ 근골격계 질환

자세 변화는 근육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근육이 힘을 만들어내는 능력은 근육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요. 거북목 증후군은 특정 근육이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만듭니다.

육아와 스마트기기, 피할 수 없다면 슬기롭게 공존합시다. - WHO 추산하는 건강 문제 4, 10위에 해당하는 목 통증/ 근골격계 질환
거북목에 따른 근육 길이의 변화

위 그림처럼 두 판상근 (splenius),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은 짧아지고, 반면에 승모근 (trapezius)이 길어지게 됩니다.

 

또한 거북목과 같은 자세가 장기간 방치될 경우 근골격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 경추의 통증
  • 척추 디스크 변성
  • 근골격계 통증
  • 역전된 경추 전만1)
  • 경추성 두통
  • 경추성 어지러움
  • 경추성 협심증 및 호흡곤란
  • 안면통증
  • 섬유근육통
  • 시각장애

이 중 1)역전된 경추 전만 (reversed cervical lordosis)이란, 
허리 척추나 목 경추부는 생리적으로 매끄러운 C자형 곡선 (아래 그림 좌)을 나타내는데요. 이러한 곡선이 없고 1자이거나 (흔히 말하는 일자목), 역 C 자형 곡선 (아래 그림 우)을 보이는 경우 '역전된 경추 전만'이라고 합니다.

육아와 스마트기기, 피할 수 없다면 슬기롭게 공존합시다. - WHO 추산하는 건강 문제 4, 10위에 해당하는 목 통증/ 근골격계 질환
좌 정상 경추 전만, 우 역전된 경추 전만

역전된 경추 전만은 목 통증은 물론, 목을 정상적으로 움직이기가 힘듭니다. 심한 경우 신경을 압박하여, 감각을 무디게 하거나 팔이나 손의 쇠약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WHO가 권장하는 영유아 영상 노출 시간

세계보건기구 (WHO)는 5세 미만의 경우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1시간 이하로, 1세 (12개월) 미만 영아에게는 노출시키지 말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1세 미만에게는,, 그러려니 하겠는데, 5세 미만까지 1시간 이하라구요?? WHO는 육아를 1도 해보지 않은 작자들일까요? ㅠㅜ

WHO는 영상 기기 시청으로 말미암은 앉아서 하는 활동 (Sedentary behavior) 위주의 생활방식은 비만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이 외에

  • 글쓰기 등에 필요한 미세 운동 능력 획득 저하
  • 어휘력, 의사소통 능력 감소
  • 키 성장 등의 발달 지연
  • 주의력, 의사결정 및 통제력 저하에 따른 ADHD 발생 가능성
  • 창의력 손상 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습니다.

거북목과 같은 기형적인 자세도 문제지만 정신/정서적인 발달에도 부정적이라고 하네요.


우리 아이 스마트기기 중독, 이렇게 교정해볼까요?

요즘 아이들은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라고 할 정도로 스마트기기는 내 몸의 일부가 되어 버렸는데요. 애나 어른이나 지나친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의존 현상 및 중독에 대한 사회적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정 연구**에서는 영유아 스마트 기기 중독을 다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 총 이용시간 통제 & 이용 시간대 통제 (ex 하루 1시간, 점심 식사 후)
- 스마트기기는 부모가 곁에서 함께 관찰하며 사용하자. 아이에게 유튜브 보라고 켜주고 엄마아빠는 주식/스포츠 뉴스 보지않도록 주의!
- 아이가 즐겨보는 콘텐츠에 따라 사회성/활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

 

1) 애니메이션 만화: 활동성이 떨어질 순 있으나 사회성에는 오히려 긍정적일 수 있다.
2) 노래, 율동: 율동을 따라함에 따른 운동효과가 오히려 긍정적일 수 있다.
3) 장난감 소개 및 놀이 동영상: 아이가 혼자만의 놀이에 빠지거나 사회적 교류 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영상기기 사용이 영유아 자세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참고자료
Pediatric Text Neck Syndrome_Eden YT Chu et al 2023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on muscle activity during neck protraction and retraction_Kyeong-Jin Lee et al 2015
**영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 영향 및 결과 요인 고찰: 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통제 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사용 콘텐츠 종류에 따른 조절효과의 탐색적 분석 이애리 외 2021

댓글